빵공장에서 일하다 숨진 23살, 회사가 유족에게 보낸 것은 바로 그 '빵'이었다

빵과 함께 시작된 꿈, 빵으로 끝난 인생

23살 박선빈씨는 언젠가 자신만의 빵집을 차리겠다는 소박한 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꿈을 위해 그녀가 선택한 곳은 SPC 계열사인 SPL 평택 제빵공장이었죠. 빵 만드는 기술을 배우고, 경험을 쌓아서 언젠가는 자신만의 가게를 열겠다는 희망으로 가득 찬 채 말이에요.

하지만 2022년 10월 15일 새벽 6시, 그녀의 꿈은 참혹한 끝을 맞았습니다. 샌드위치 소스를 만드는 배합기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것이죠. 빵을 만들다가 목숨을 잃은 것입니다.

그런데 이 이야기에서 가장 충격적인 부분은 사고 그 자체가 아니었습니다. 진짜 경악스러운 일은 그 다음에 벌어졌어요.

빵공장에서 일하는 젊은 여성 근로자

그날 새벽에 무슨 일이 일어났나

2022년 10월 15일 새벽 6시경, 밤샘 근무가 끝나갈 무렵이었습니다. 박선빈씨는 평소와 다름없이 샌드위치용 소스 배합기 청소 작업을 하고 있었어요.

문제는 이 배합기에는 안전장치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더 심각한 것은 이런 위험한 작업을 혼자서 해야 했다는 점이었죠. 회사에서는 2인 1조로 작업하라는 규칙이 있었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

사고 당시 상황

  • 시간: 새벽 6시경 (밤샘 근무 마감 직전)
  • 작업: 샌드위치 소스 배합기 청소
  • 안전장치: 인터록(안전장치) 미설치
  • 작업인원: 1명 (규정상 2인 1조)

박선빈씨는 기계에 끼어 현장에서 즉시 사망했습니다. 그녀가 꿈꾸던 빵집 사장의 꿈은 이렇게 참혹하게 끝났어요.

장례식장에 온 것은 사과가 아닌 '빵 두 박스'

여기서부터가 이 사건이 단순한 산업재해를 넘어서는 충격적인 이야기의 시작입니다.

사고 다음날인 10월 16일, SPC 측 관계자들이 박선빈씨의 장례식장을 찾아왔습니다. 유족들은 당연히 진심어린 사과와 책임있는 자세를 기대했겠죠.

그런데 그들이 가져온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파리바게뜨 빵 두 박스였습니다. 땅콩 크림빵과 단팥빵이 들어있었어요.

"빵 공장에서 사고를 당해 죽었는데 답례품으로 빵을 주는 게 말이 되냐"

유족의 이 말이 모든 것을 설명합니다. 빵을 만들다가 죽은 사람의 장례식에 그 회사에서 만든 빵을 답례품으로 가져온 것이에요.

SPC 측의 해명

SPC는 이에 대해 *"직원이나 그 가족이 상을 당하면 일괄적으로 나가는 경조사 지원품 중의 하나"*라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이 해명이 오히려 더 큰 문제를 드러냈어요.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매뉴얼적 대응, 그리고 기본적인 상식과 예의의 부재를 보여준 것이죠.

장례식장의 빵과 조화

뒤늦게 밝혀진 더욱 충격적인 진실들

빵 두 박스 사건도 충격적이었지만, 조사가 진행되면서 더욱 경악스러운 사실들이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1. 반복되는 끼임사고의 진실

이 공장에서는 2017년부터 2022년 9월까지 총 37명의 사고 재해자가 발생했습니다. 이 중 무려 15명이 끼임사고였어요. 즉, 박선빈씨의 사고는 전혀 예상치 못한 일회성 사건이 아니었다는 것이죠.

더 충격적인 것은 사고 일주일 전에도 비슷한 끼임사고가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비정규직 직원의 손이 20분간 기계에 끼었는데, 회사의 대응은 이랬습니다:

"기간제는 자기네가 알아서 해. 병원은 알아서 가세요."

부상당한 노동자는 택시를 타고 혼자서 병원에 가야 했습니다.

2. 사고 당일 밤의 믿기 힘든 일

더욱 경악스러운 것은 사고 당일 밤부터 공장을 재가동했다는 사실입니다. 동료가 기계에 끼어 죽었는데, 그 현장을 천으로 가려놓은 채 직원들에게 계속 작업하라고 지시했어요.

시신을 수습한 동료 직원들이 트라우마를 호소했음에도 다음날 바로 정상 출근을 요구했습니다.

3. 입관식 당일의 합의금 압박

박선빈씨의 입관식을 마친 그날 저녁, SPC 측 관계자들은 빈소에서 합의금을 언급했습니다. 구체적인 금액까지 제시하며 형사 고소를 하지 않는 조건을 내걸었어요.

하지만 어머니는 이를 거절했습니다. *"합의금을 받으면 딸의 진실을 알 수 없어질 것 같다"*는 이유에서였죠.

4. SPC 계열사의 반복되는 사고 패턴

이 사건이 더욱 충격적인 이유는 SPC 계열사에서 계속해서 비슷한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SPC 5년간 사고 현황:

  • 총 사고자: 758명
  • 제조업 평균보다 높은 사고율
  • 3년간 사망사고: 3건
  • 부상사고: 5건

2025년 5월에도 시흥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5세 여성 노동자가 컨베이어벨트에 끼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같은 패턴, 같은 원인, 같은 결과였어요.

5. 법적 처벌의 현실

2025년 1월, 강동석 전 SPL 대표이사에게 내려진 판결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이었습니다. SPL 법인에는 벌금 1억 원이 선고되었어요.

법원은 *"회사 대표로 취임한 지 4개월여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을 양형 이유로 들었지만, 유족 측은 이를 중대재해처벌법 도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취임 시점이 짧았다는 것만으로 비난 가능성을 낮다고 판결한 것은 유족들이 겪은 고통을 고려했을 때 굉장히 유감스러운 결과"

빵공장 안전장치와 경고표시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들

이 사건을 통해 우리는 여러 가지 충격적인 사실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기업의 무감각함이 보여준 것

빵을 만들다 죽은 사람의 장례식에 빵을 보낸 SPC의 행동은 단순한 실수가 아닙니다. 이는 근본적인 인식의 문제를 드러낸 것이죠.

  • 매뉴얼에만 의존하는 무사고적 사고
  • 상황 판단 능력의 부재
  • 기본적인 인간에 대한 예의와 존중의 부족
  • 진정한 책임감의 부재

반복되는 구조적 문제

더 심각한 것은 이런 사고가 계속 반복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 5년간 758명의 사고자
  • 3년간 3명의 사망자
  • 여전히 부족한 안전장치
  • 여전히 지켜지지 않는 2인 1조 원칙

소비자로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

우리가 매일 먹는 빵 뒤에는 이런 현실이 있습니다. 편리함과 맛있는 빵을 위해, 누군가는 목숨을 걸고 일하고 있어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단순히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일하는 사람들의 안전과 존엄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한 책임이죠.

마무리

23살 박선빈씨는 자신만의 빵집을 차리겠다는 소박한 꿈을 품고 있었습니다. 그 꿈을 위해 선택한 길이 결국 그녀의 생명을 앗아갔어요.

더 안타까운 것은 이런 사고가 충분히 예방 가능했다는 점입니다. 적절한 안전장치, 제대로 된 작업 규칙 준수, 그리고 무엇보다 사람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기업 문화만 있었다면 말이죠.

우리는 이 사건을 단순히 남의 일로 여겨서는 안 됩니다. 우리가 소비하는 모든 제품 뒤에는 누군가의 노동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해요. 그리고 그 노동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도요.

박선빈씨의 죽음이 헛되지 않으려면, 우리 모두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진정한 변화를 요구해야 합니다.

이전 글타인의 시선이 무서운 이유: 인정욕구 심리학 1분 분석
다음 글대한민국 검찰 70년 역사에 없던 일, 검찰총장의 비화폰이 말하는 것

댓글

댓글을 불러오는 중...
0/1000